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 의협 집단 휴진에 불참 선언
최근 의협(대한의사협회)의 집단 휴진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대학병원의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는 오는 18일 의협의 집단 휴진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분만병의원협회와 대한아동병원협회에 이어 의료단체 중에서는 세 번째로 집단 행동 불참을 선언한 것입니다.
뇌전증 환자의 생명과 건강을 위한 결정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위원장 홍승봉)는 14일 언론사에 보도자료를 통해 "뇌전증은 치료 중단시 신체 손상과 사망의 위험이 수십 배 높아지는 뇌질환으로, 약물 투여 중단은 절대로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습니다.
협의체는 "의협의 단체 휴진 발표로 많은 뇌전증 환자와 가족들이 처방전을 받지 못할까 불안과 두려움에 떨고 있다"며 "약물 난치성 뇌전증 환자들은 갑자기 약물을 중단하면 사망률이 일반인의 50-100배로 높아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뇌전증에 대한 지식이 없고 치료하지 않는 의사들은 처방하기 어려우며, 일반약국에서 대부분 약물을 구할 수도 없다"고 말하며 "항뇌전증약의 일정한 혈중 농도를 항상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단 한 번 약을 먹지 않아도 심각한 경련이 발생하여 환자의 생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의사들의 책임과 환자 보호
협의체는 의협 등의 집단행동에 대해 "환자들의 질병과 아픈 마음을 돌보아야 하는 의사들이 환자들을 겁주고 위기에 빠뜨리는 행동을 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잘못이 없는 중증 환자들에게 피해와 고통을 주지 말고, 차라리 삭발하고 단식을 하면서 과거 민주화 투쟁과 같이 스스로를 희생하면서 정부에 대항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습니다.
전공의 사직과 그로 인한 피해
또한 협의체는 "전공의 사직 후 115일 동안 수많은 중증 환자들과 가족들이 극심한 고통과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의대생과 전공의는 빨리 돌아오고, 의사단체들은 과학적인 근거 수집과 분석으로 정부에 대항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먼저 아픈 환자들을 살리고, 전 세계 정보 수집, 전문가 토론회 및 과학적 분석을 통해 2026년 의대정원을 재조정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협의체는 "그렇지 않으면 전 국민의 공분을 피할 수 없고, 나아가 전 세계 의료인과 주민들의 비난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기타 의료단체들의 동향
의협의 집단휴진에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 전국의과대학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등 교수 단체가 동참 의사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개별 진료과 의사들을 중심으로 참여하지 않겠다는 선언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분만병의원협회는 진료를 유지하겠다고 밝혔고, 대한마취통증의학회도 필수적인 수술에 필요한 인력은 병원에 남아 진료를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표했습니다.
전날에는 전국 120여 곳 아동병원이 속한 대한아동병원협회가 "의협의 투쟁에 공감하지만 환자를 두고 떠나기 어렵다"며 진료를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뇌전증 치료의 중요성
뇌전증은 반복적인 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뇌 질환으로, 정확한 진단과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뇌전증 환자는 발작이 언제 발생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 약물 치료는 발작을 예방하는 중요한 수단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뇌전증 전문 교수들은 환자들이 치료를 중단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과제
이번 의협의 집단 휴진 사태는 의료계와 정부 간의 갈등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그러나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의료인들의 자세가 필요합니다.
의료계는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정부와 협력하여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뇌전증 전문 교수들의 이번 결정은 환자 보호를 위한 책임감 있는 행동으로, 다른 의료인들에게도 귀감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