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2년 서울 인구 감소와 대한민국의 인구 구조 변화 전망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장래인구추계 시도편’(2022∼2052년)에 따르면, 2052년 서울의 인구는 800만 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국의 중위연령(중간 나이)은 60세에 육박할 것으로 보입니다.
2045년부터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17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많아져 인구가 자연감소할 전망입니다.
이 전망은 출생, 사망 등 전망치를 중간 수준으로 가정한 중위 추계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서울과 주요 도시의 인구 감소
2030년에는 서울 인구가 910만 명으로 2022년(942만 명)보다 32만 명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같은 기간 부산은 330만 명에서 311만 명으로, 광주는 147만 명에서 140만 명으로 줄어듭니다.
2052년에는 서울 인구가 793만 명으로 2022년 대비 149만 명(15.8%)이나 줄어들 것입니다.
부산은 330만 명에서 245만 명으로 85만 명(25.8%) 감소할 전망입니다.
울산은 111만 명에서 83만 명으로 29만 명(25.7%) 줄어들 것입니다.
대구와 경남도 각각 58만 명, 69만 명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위연령 상승과 그 의미
출생아 수가 줄고 노년층의 기대수명은 늘어나면서 전국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52년 58.8세로 높아질 것으로 추산되었습니다.
중위연령은 전체 인구를 나이 순서로 줄 세울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연령을 뜻합니다.
2052년에는 50대 중반이 돼도 나이가 비교적 젊은 편에 속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2052년 중위연령은 전남이 64.7세로 가장 높고, 경북(64.6세), 경남(63.5세)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생산연령인구의 감소와 경제적 영향
생산연령인구(15∼64세)도 크게 줄어들 전망입니다.
2022년 대비 2052년 생산연령인구 감소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49.9%)과 경남(―47.8%)입니다.
울산은 2022년 생산연령인구가 81만 명에서 2035년 63만 명, 2045년 48만 명, 2052년 41만 명으로 감소할 전망입니다.
울산과 경남은 중공업 생산시설이 다수 모여 있는 지역인 만큼, 이들 지역의 인구 감소는 전체 제조업 생산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부산(―47.1%), 대구(―46.9%), 전북(―43.4%) 등도 감소 폭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학령인구의 감소와 교육 현안
학생 수 또한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 학령인구(6∼21세)는 2022년 750만 명에서 2035년 482만 명으로 줄어든 뒤, 2052년까지 424만 명으로 30년 새 44% 감소할 전망입니다.
대책과 향후 전망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직면한 문제입니다.
한국 역시 이러한 변화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출산 장려 정책, 이민자 유입 정책, 노년층을 위한 복지 확충 등이 대표적인 대책입니다.
하지만 인구 감소와 고령화의 속도가 빠른 만큼, 보다 혁신적이고 효과적인 대책이 요구됩니다.
향후 경제 성장과 사회 복지를 위해서는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특히, 청년층의 일자리 창출과 노년층의 건강한 노후를 보장하는 정책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술 발전과 함께 생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를 재편해야 합니다.
인구 구조 변화는 단순히 숫자의 변화에 그치지 않고,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정부와 사회 모두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모색해야 합니다.
2052년 대한민국의 인구 구조 변화는 우리에게 많은 도전을 안겨줄 것입니다.
하지만 이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한다면, 더욱 밝은 미래를 열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